댕겨왔어요_2009

북한산 백운대 090718

영동양반 2023. 1. 13. 20:34

산행일시 : 2009년 07월 18일

산행장소 : 북한산 우이렁 고개

우이령 고개를 우천으로 대충 끝내고 돌아오는 길......

교현리에서 704번 시내버스를 타고 사기막골 효자동을 지날 무렵 비가 끄쳣

지난번 아쉬움이 남아 북한산 유원지 계곡에서  시작된다

북한산 등산코스( 여러 갈래의 코스가 잇지만 위문 백운대 간다)

우이령 고개를 우천으로 대충 끝내고 돌아오는 길......

교현리에서 704번 시내버스를 타고 사기막골 효자동을 지날 무렵 비가 끄쳣다

지난번 아쉬움이 남아  북한산 유원지 계곡에서 시작된다

북한산 등산코스( 여러 갈래의 코스가 잇지만 위문 백운대 간다)

1.용암문 코스 (1시간 40분) 도선사 주차장 - 도선사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2.하루재 코스 (1시간 40분) :  도선사 주차장 - 우이대피소 - 인수대피소 - 백운대피소 - 위문 - 백운대 

3.진달래능선 코스(2시간 20분)  :  매표소 - 이준열사묘 입구 - 운가사 - 진달래능선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4.아카데미하우스 코스(2시간 30분 ) : 아카데미하우스 - 구천계곡 - 구천폭포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백운대

5.칼바위 코스 (3시간) : 아카데미하우스 - 구천계곡 - 갈림길 - 칼바위능선 - 산성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6.보국문 코스(3시간)  : 정릉매표소 - 넓적바위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7.일선사코스(3시간 10분) :  북악파크호텔 - 동령폭포 - 일선사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8. 대성문 코스 (3시간 30분) : 정릉매표소 - 삼봉사 - 영추사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9.칼바위 코스(3시간 40분)  : 우이초등교 - 영락기도원 - 조병옥 박사묘 - 갈림길 - 칼바위 능선 - 대동문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0.화계사 코스(3시간 40분) : 화계사 입구 - 화계사 - 삼성암 - 칼바위능선 - 대동문 - 동장대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1.형제봉 코스  (3시간 40분)  : 북악터널입구 - 영불사 - 형제봉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2.삼천사코스(3시간 40분)  : 156번 버스 종점 - 삼천사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3.문수사코스(3시간 45분) : 구기터널입구 - 구기계곡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백운대

14.승가사코스(3시간 50분) :  구기터널입구 - 승가사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백운대

15.진관사 코스(4시간) : 진관사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보국문 - 대동문용암문 - 위문백운대

16.비봉코스(4시간 10분) : 구기터널입구 - 연화사 - 금선사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17.불광중학교코스(4시간 20분)  : 불광중 - 향림담 - 비봉 - 사모바위 - 승가봉 - 문수봉 - 대남문 - 대성문 -  보국문 - 대동문 - 용암문 - 위문 - 백운대

산행일시 : 2009년 07월 18일

산행장소 : 북한산 우이렁 고개

우이령 고개를 우천으로 대충 끝내고 돌아오는 길......

교현리에서 704번 시내버스를 타고 사기막골 효자동을 지날 무렵 비가 끄쳣

지난번 아쉬움이 남아 북한산 유원지 계곡에서  시작된다

북한산 등산코스( 여러 갈래의 코스가 잇지만 위문 백운대 간다)

나의 산행 코스는 이렇게

북한산성입구-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 - 계곡탐방로 - 산성마을 - 원효봉/위문갈림길 - 대동사입구 - 약수암터 - 위문 -

백운대 - 위문 - 만경대(아래길) - 노적봉 - 병풍암 - 용암문 - 동장대 - 대동문 - 구천계곡 - 아카데미하우스 - 수유역

 

북한산성매표소-북한산성탐방지원쎈타(좌측길) 이정표(대남문 4.7km,백운대 3.4km, 원효봉 1.8km) 시작 된다

예전에 있던 수영장터를 지나 굿집을 지나 군밤을 주는집 김밥 라면등이 잇다. 수문지터가 잇다고 하지만 찾아볼수 업었다

백운대2.2km 원효봉1.2km 상운사1.0km 이정표를 지나 계곡탐방로 중간 철계단 옆 아름다운 계곡을 지나면 계곡물이 만아져

장관을 이루며 탐방지원쎈타에서 30분 정도 오르면 산성마을 입구 새마을교(식당 밀집지역) 통운각 갈림길이 있으며 세입자 대책

촉구하는 풀량카드가 나붓긴다.

 

갈림길(원효봉0.7km백운대1.5km)우측은 원효봉(보리사 )코스와 백운데 코스으로 방향을 틀었다

보리사 대웅전을 가로질러 갓다 보면 고깃굽은 냄새와 소주병이 잇어 도를 닦을 분위가 아닐것 같다 . 부처님은 고기 굽는 냄새에 정신이 산란하지 않을가 생각 한다.

좌측 돌 계단으로 오르며 5~6분 정도 헉걱허걱 거린다.개연 폭포와 지나 폭포 절벽에 낙서 하느 인간들 엔젠간 낙서 다시 하다 별악맞아 되져라. 외치고 싶다.

샛길 폐쇄 폿말과 계곡의 암반지대에 쇠난간을 둘른 개연 폭포에서 10여분 가다보면 원효봉 갈림길이 나온다.

원효봉 갈림길 이웃에 있는 이상형 바위안개비가 계속 내려 앞길을 분간하기 힘들다. 대동사 샘터를 지나 북한산영취봉대동사라고 한자로 적힌 일주문이 나오고, 입구를 일주문을 지나 쳤다.

사진을 찍고 싶었으나 다음 기회으로 미루었다. 전통 사찰옆 콘크리트 건물이 흉물스럽다 보존및 관리가 병행되어야 할것 같다.

옆 이정표에 이렇게 쓰여잇다. 백운대(1.4km) 10여분 오르다 보니 또 다른 이정표가 나르 반긴다. 백운대0.9km 산성센터3.3km

거리 측저이 잘못 표기 된것인지 의심스럽다 가파른 바위사이으로 오라 갓다 보면 악수암터암 흔적이 보인다.

약수물은 보이지 않았다 . 지난해 화재으로 소실되었다 한다.참으로 안카까운 일이다. 화재 소실 잔재만 쌓여 있다.

약수암터 약수암 윗편 야영터 노적봉 멀리 사모바위와 비봉 원효능선 시발크럽 야영터 여우굴가는길 여우굴입구 여우굴출구 출구를 나온직후의

낭떨어지 금낭화 백운대가는길 원효능선 원효능선 말바위 춘향이바위 마른 폭포 염초봉에서 백운대으로 오르는 길이 잇다고 한다.

난 몰~라

그길으로 갈수 업다 모르느까 아느길로 물어 가라고 햇는데 모르는 산행길을 어떻게 갈수 있ㅅ을까

 

한참을 30분나홀로 오른뒤 나무계단 갈림길에서 힘든 위문쪽으로 걸음을 옮겨 계단에 400m남은 이정표에서 걸음을 멈춘다 심호흡을 하기 위해서다

 

비바람속에 위문을 통과 하자 이렇게 쓰여 있다

위문(해발725m)(백운대 0.3 백운동탐방지원센터1.8 북한산대피소1.4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3.8)이정표가 나를 반긴다.

 

가까이 보이느 백운대 만만치안다 사람이 보이지 안타. 이런 비바람 우천우속에 백운대에 오르는 사람이 잇을까

정상 방향으로 바라보고 있는 오리형상. 바위좁은 바윗길 오가는 삶이 만아 위험하겠지만 오욜은 한가하다철난간 로프를 잡아

올라가다보니 바람이 세차게 불어와서 큰일날번햇다. 낙상 주의 모자를 일어버린뻔햇다 비어젖은 화강암은 미끄러웟다

백운대 깃대봉에 오랏으나 태극기는 보이지않고 만경대 인수봉도 보이지 않는다 위문에서 백운대까지도 힘든 코스이다

상으로 향하는 말뚝길 가다보면 노산이은상선생과 한구산악회에서75년에 세우너 통일서원탑이잇다.

쓸데업이 써 놓응것이 아닐런지도

정상 백운대(해발837m) 정상 목재 구조물 사각 내는 들어가면 안됨(암 바닥에 3.1 독립운동 관련 글귀가 새겨 있으나 알수 없슴)

 

독립31인 기념문 글을 돌에 써 놓은것으로 볼때 낙서를 좋아하는 사람들이 아닐까

온 천지가 안개으로 쌓여잇어 분간하기 힘들엇다 . 하산길에 한 두명 마나 인사를 나누었다. 문자가 왔다 46살 공주 한테서

시간이 2시 오십사분이다 " 산 만이 다녀 신선 됫겟다 ㅋ ㅋ"

위문은 현재 개명중?. (위문이 일제하에서 석문명이 불려줬다 하여 명패를 현재 떼냄)

백운대를 출발하여 만경대밑을 가로질러 노적봉으로 향햇다. 30분 정도 소요됨

노적봉(대동문2.1km,북한산대피소0.8km,백운대0.9 km)바로 지나 용암문이다 용암문에서 라면과 막걸리를 마저 먹어 치웠다.

용암눈은 작고 아담하게 만들어졋다. 1시간 30분 정도 거렸다

용암문 ~ 용암문 탐방 지킴터 - 도선사으로 갈까 아니면 . 북한산 대피소를 지나 대동문으로 갈까 망설였다.

용암문에서 200미터만 가면 북한산대피소. 통나무집과 주위에 평탄한 장소가 많아 쉬어가기 좋으며 능선상에서 유일하게

샘터가 있는 곳이다. 이후 대동문까지도 역시 주능선상에서 가장 편안한 길이다.

북한산대피소(보국문1.9 대동문1.3 백운대1.7 용암문0.2 북한산성탐방지원센터4.4)

초입에 들어서니 일행 2명이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다. 대동문 가는 길을 물으니 아래로 내려 가면 된다고 하였다

북한산대피소에서 동장대까지도 편안한 길.동장대 가기 직전부터 능선 사면길을 벗어나 드디어 길은 능선의 성벽과 나란히 한다.

장대(將臺)란 전투시 군사를 지휘하기 위해 축조된 장군의 지휘소이다.

동장대는 북장대, 남장대 등 북한산의 3대 장대중 가장 규모가 크며

유일하게 복원된 장대이다. 성벽길을 따라 걷다 보면 동장대 대동문(20여분) 구천계곡으로 진달래길 망설이다가

구천계곡으로 가는 하산길. 선택- 구천폭포. 상류부근이다. - 아카데미하우스. 입구. 이곳에 마을버스 종점이 있다.

마을버스 01를타고 수유역으로 행햣다.끝